본문 바로가기
만들어 먹자! 요리 리뷰

김치 이야기 마지막편 No 3 대한민국 지역 별 대표 김치와 종류!

by 피식미식 2023. 11. 28.

 
K-FOOD의 선두주자인 김치의 효능, 김치와 궁합이 맞는 음식 BEST 4에 이어 양작가의 김치 이야기 마지막편!! 지역별 김장김치이 종류!에 대해 소개할까 합니다.
 
1편 김치의 놀라운 효능
 https://yangri79.tistory.com/m/4

(김치 이야기 No.1)K-푸드의 선두 주자 김치의 놀라운 효능 6가지!!

김장김치 담그는 글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 주셔서 김치의 효능이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김치의 효능 6가지. 김장김치 만들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참조~! 하세

yangri79.tistory.com


2편 김장김치와 궁합이 잘 맞는 음식 best 4
 https://yangri79.tistory.com/m/5

(김치 이야기 No 2)김장 김치와 궁합이 잘 맞는 음식 Best 4! 김장 김치에 이 조합은 못참지!!

김장철을 맞이해서 김장 김치를 담그시는 분들이 많으실 건데요. 이번 주제는 김장 김치와 잘 어울리는 음식 best4를 준비해봤습니다. 제가 직접 담근 김장김치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yangri79.tistory.com


 
마지막 3편!! 한국의 지역별 김치의 종류에 대해 소개 해보겠습니다. 
 

서울 및 경기지역
서울 대표김치 깍두기
서울 김치는 다소 심심한 듯한 무난한 맛이 특징으로 간이 너무 세거나 싱겁지 않고 양념들은 대부분 잘게 다져서 보기에도 깔끔하다. 특히 오랜 세월 수도이자 궁중에서 먹던 김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전국의 농산물이 모여 김치의 가짓 수가 많다.
경기도는 동쪽 산간 지방의 넓은 들과 밭에서 나는 곡식들과 서해안의 해산물을 이용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김치의 맛이 다양하다새우젓, 조기젓, 황석어젓 등 담백한 젓갈을 사용하고 생새우, 생갈치를 넣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김치 종류에는 섞박지, 총각김치, 깍두기, 보쌈김치, 바박 김치, 고춧잎 깍두기, 동치미, 고구마 줄기 김치, 오이김치, 석류김치, 꿩 김치, 장 김치,미나리 김치등이 있다.
 
 

 

강원도
 
강원도 대표김치 해물김치(사진 참고)
강원도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과 영서지방으로 나눠져 환경과 기후에 따라 각각 특색 있는 김치를 담는다.
영동지방은 양념소에 말린 생태와 생오징어를 썰어 넣는 것이 특징이며 감칠맛을 위해 새우젓, 멸치젓을 사용하고 멸치 우린 물을 사용하여 담백하고 시원한 맛을 낸다.
영서지방은 김치에 갓이 많아 칼칼한 맛을 내고, 국물은 넉넉하게 해 간을 싱겁게 한다. 생태 머리와 뼈, 창난젓 등을 넣어 익혀 먹기도한다.
 
대표적인 김치는 해물 김치, 창난젓 깍두기, 해초 김치, 오징어 김치, 더덕 김치, 갓김치, 콩나물김치 등이다.
 
 
 
충청도
충청도 대표김치 열무물김치(사진 참고)
충북의 채소들과 충남의해산물을 사용하며 젓갈을 많이 넣지 않고 소금만을 사용한 소박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짠지라고 하여 배추와 무를 통으로 담그며 조기젓, 황석어젓, 새우젓을 주로 사용하고 양념을 적게 발라 만든다.
부재료로 삭힌 풋고추, 청각, 미나리, 파를 넣고 표고버섯과 배, 밤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
 
대표적인 김치는 나박김치, 열무물김치, 호박김치, 공주 깍두기, 굴 깍두기, 시금치 김치, 가지김치 등이다.
 
 

 

경상도
 
경상도 대표김치 부추김치(사진 참고)
기온이 따뜻한 경상도에서는 김치가 쉽게 익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늘과 고가루, 소금과 젓갈을 많이 사용하여 맵고 얼얼하며 짠맛이 특징이다. 생강은 많이사용하지 않으며 멸치젓을 달여 국물만 사용하고 갈치속젓을 넣어 맛을 낸다.
 
대표적으로 부추김치, 고추김치, 고들빼기김치, 무말랭이 김치, 모젓 깍두기, 박김치, 우엉김치, 콩잎김치, 고구마 줄기 김치, 깻잎김치 등이 있다.
 
 
 
전라도
전라도 대표김치 고들빼기 김치
음식의 고장 전라도는 해산물이 풍부하고 산나물도 다양해 김치의 종류도남 다르다 따뜻한 기온으로 인해 고촛가루와 조기젓, 새우젓 등 젓갈을 많이 사용하여 매운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고추를 갈아 여기에 젖살을 섞어 만든 고추 양념을
사용해 칼칼한 맛을 낸다. 또 찹쌀풀을 쑤고 멸치젓을 많이 사용하여 국물이 진하고 탁한 색을 내지만 감칠맛이 좋고 깊은 맛을 낸다.
 
대표적인 김치에는 나주의 동치미, 해남의 갓김치, 어리 김치, 가지김치, 파래김치, 콩나물김치, 우엉김치, 고들빼기김치 등이 있다.
 

 

 

제주도
 
제주도 대표김치 톳 김치(사진 참조)
다양한 식재료를 구하기 어려운 지역특성상 재료와 양념을 적게 사용하여 김치 종류가 많지 않으며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것이 특징이다
따뜻한 날씨로인해 사시사철 채소를 재배활 수 있어 많은 양의 김장을 하지 않고, 한겨울에도 잘 자라는 재래종 배추의 줄기나 꽃봉오리로 동지 김치를 담근다. 해산물이 풍부하여 전복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
 
톳 김치, 유채나물 김치, 전복김치, 귤 김치, 꽃대 김치 등이 대표적이다.
 
 

 

 

북한김치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서울 경기도와 비슷하나 화려하지 않고 소박하다.
향신채소를 넣는 것이 특징이며 배추김치에는 고수, 호박 열무김치에는 분디를 넣는다.
동치미, 섞박지, 갓김치, 고수김치, 보쌈김치가 대표적이다.
 
  평안도
추운 날씨로 인해 소금과 젓갈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 싱겁게 만든다.
조기젓이나새우젓을 소량 넣어 깔끔한 맛을 내며고 촛가루도 적게 넣고 쇠고기 육수를 넣어 시원한 감칠맛이 난다
가지김치, 꿩김치, 백김치, 동치미, 무청김치 등이 있다.
 
  함경도
동해 지역은 오징어, 생태 등 해산물을 넣고 산악 지역은 돼지고기와 향신채소를 넣는다. 역시나 추운 날씨로 새우젓이나 멸치젓을 조금만 넣어 싱겁게 만들며 가자미, 대구 등을 넣기도 한다.
 
대표적인 김치로 쑥갓 김치, 대구 깍두기, 가자미식해,참나물 김치, 산갓 김치가 있다.
 

 
이렇게 팔도의 김치와 더불어 북한의 김치 종류까지 알아봤습니다!
 
한국의 김치는 계절의 영향과 지리적 특성에 따라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k-food의 선두주자인 김치가 전세계 더많은 사람들이 알게되는 그날까지 김치의 행보를 응원합니다! ^^;;